시리얼스 캐나다, 2025년 '신작 밀 수확 보고서' 발표

보고서에는 국내외 고객들에게 올해 작물에서 기대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한 정보 담겨

캐나다 곡물 산업을 대표하는 비영리 협회인 시리얼스 캐나다(Cereals Canada)가 18일 캐나다산 밀의 국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신작 밀 수확 보고서(New Wheat Crop Report)'를 발표했다. 본 연례 보고서에는 2025년 캐나다산 밀의 제분 성능, 밀가루•세몰리나 품질, 최종 제품 기능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딘 디아스(Dean Dias) 시리얼스 캐나다 최고경영자(CEO)는 "캐나다는 우수한 기능성을 지닌 또 하나의 고품질 밀 작물을 생산했다"며 "캐나다는 세계 3위 밀 수출국이자 고품질•고단백 밀 수출 1위 자리를 유지할 전망이다. 2025-2026년에는 고객이 기대하는 품질과 단백질 함량을 충족시킬 밀 2740만 톤이 해외 시장 80여 곳에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2025년 캐나다 농민들은 3660만 톤의 밀을 생산했으며, 대부분이 1등급 또는 2등급으로 평가됐다.
  • 프레리 지역 전반에 걸쳐 재배 환경이 다양했음에도 불구하고, 한여름에 적시에 비가 내리면서 평년보다 높은 수확량을 올릴 수 있었다. 캐나다 동부에서는 겨울밀 재배 기간 내내 양호한 기상 조건이 이어진 덕분에 우수한 품질의 밀을 대량 수확했다.
  • 밀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과 비슷했다.
  • 2025년에 수확된 밀은 등급에 상관없이 모두 양호한 '시험 중량(test weights)'을 보였으며, 서부 지역 혼합 품종에서는 '천립중(thousand kernel weights)'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리얼스 캐나다는 올해 신작 밀 홍보 활동의 일환으로 2024년 82억 달러어치의 캐나다산 밀을 구매한 29개국과 협력할 예정이다. 협회는 가치 사슬 구성원, 생산자 대표, 캐나다 곡물 위원회(Canadian Grain Commission•CGC)와 함께 11월 18일과 19일 두 차례에 걸쳐 고객 웨비나를 열고 2025년 밀 작물에 대한 기술 데이터를 공개할 계획이다.

 

시리얼스 캐나다는 기존에는 캐나다 서부산 밀만 포함해 왔던 수확 평가 프로그램(Harvest Assessment Program)을 통해 2025년 '신작 밀 수확 보고서'에 들어갈 데이터를 생성했다. 올해는 또 온타리오 곡물 농민 협회(Grain Farmers of Ontario)와 협력해 동부 지역 밀 등급을 처음으로 평가했다.

 

엘레인 소피위닉(Elaine Sopiwnyk) 기술 서비스 부문 부사장은 "올해는 시리얼스 캐나다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해였다"며 "캐나다 전역에서 생산되는 밀을 분석할 기회를 얻음으로써 기술팀의 전문성이 강화되었고, 올해 '신작 밀 수확 보고서'도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신작 밀 수확 보고서'는 매년 CGC, 가치 사슬 구성원, 주별 재배자 위원회와 협력해 작성해 발표된다. 수확 시즌 내내 시리얼스 캐나다는 수출업체 및 온타리오 곡물 농민 협회와 협력해 앨버타, 서스캐처원, 매니토바, 온타리오 주에서 생산된 캐나다 서부 적색 봄밀(Canada Western Red Spring•CWRS), 캐나다 서부 황색 듀럼밀(Canada Western Amber Durum•CWAD), 캐나다 동부 연질 적색 동밀(Canada Eastern Soft Red Winter•CESRW), 그리고 사양별 밀의 대표 샘플을 확보했다.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정원주 회장, 아누틴 찬위라꾼 태국 총리 예방 대우건설은 지난 11월 18일 정원주 회장이 태국 정부청사에서 아누틴 찬위라꾼 (Anutin Charnvirakul) 태국 총리를 예방, 신규 사업 추진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예방에서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은 “대우건설의 52년 건설 노하우와 최근 베트남에서의 성공적인 부동산 개발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태국에서도 현지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디벨로퍼로 적극적인 역할을 희망한다”며, “한류에 기반한 다양한 산업을 개발사업에 접목시킨 K시티를 조성하여 관련 한국 업체의 투자 확대 및 경제 활성화라는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내고자 한다”고 현지 사업 진출 의지를 밝혔다. 특히 정회장은 “K컬쳐를 공연할 수 있는 아레나를 건설하게 되면 K팝 뿐 아니라 K뷰티, K푸드, K클리닉 등 연계 사업을 확장 유치하여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대우건설이 마스터 디벨로퍼가 되면 타 한국 업체들이 대우건설을 믿고 추가 투자를 하게 되는 이른바 더블, 트리플 외화투자로 이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누틴 찬위라꾼 총리는 “한국의 베트남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우건설이 태국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투자해 주기를 희망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