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2026년 상하이 국제 자전거 박람회, 혁신을 원동력 삼은 첨단 기술 중심의 미래 건설

차이나 사이클(China Cycle)로도 알려진 제34회 상하이 국제 자전거 박람회(China International Bicycle Fair)가 '혁신을 원동력 삼은 첨단 기술 중심의 미래(Innovation-Driven, Intelligence-Led Future)'를 주제로 2026년 5월 5일부터 8일까지 상하이 신국제 엑스포센터(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er, SNIEC)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나 사이클은 30년간 전문성과 혁신을 축적하면서 세계 자전거 및 전기 자전거 산업의 유행을 이끄는 구심점이자 업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세계 유수의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2024년 중국의 총 자전거 생산량은 약 9954만 대에 달했다. 경기용 자전거 수입량은 전년 대비 12.5% 증가했으며, 고급 전기 자전거가 지난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1%였다.

 

전략적 교두보 역할을 하는 상하이 국제 자전거 박람회는 해외 기업들이 중국의 광범위한 시장의 문을 직접 두드린 후 중국 소비자 심리에 대한 의미심장한 정보를 수집할 기회를 마련해준다. 결과적으로, 이 박람회는 판로 확대를 촉진하고 상생을 위한 범세계적 협력 문화를 조성한다. 그와 동시에 이 박람회는 산업의 거점으로 기능하면서 관련 분야 전체의 꾸준한 성장을 촉진한다. 차이나 사이클은 혁신적인 최첨단 기술을 전시하고 미래 유행을 제안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증진을 이끌어간다.

 

2025년 상하이 국제 자전거 박람회에서는 13개의 전시관에 25개 국가 및 지역의 기업 1580여 개가 제품을 출품했다. 2026년 박람회에서는 미래 지향적인 기획을 통해 기업과 바이어의 높아진 눈높이에 부응하고자 16만 제곱미터로 늘린 전시 공간을 최적의 비율로 배분할 예정이다. 따라서 2026년 박람회는 중국 자전거 산업의 강점을 부각하고 국제 공급망의 가치를 높일 절호의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자전거 및 전기 자전거 시장이 성장을 거듭하는 가운데, 전기 자전거에 대한 새로운 국가 표준이 시행되면서 친환경 및 저탄소 기술 보편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그리고 그로 인해 국제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 차이나 사이클은 가교 구실을 충실히 하고자 전 세계 이륜차 산업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상생하기 적합한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25년에는 다수의 세계적인 브랜드가 이 박람회 참가를 지렛대 삼아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판로를 넓히는 데 성공했다. 혁신적인 고품질 자전거와 전기 자전거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브랜드 입장에서 봤을 때 중국 시장에는 무궁무진한 기회가 잠재된 셈이다. 주최 측은 전 세계 기업들이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밝은 미래를 함께 건설해 나갈 수 있도록 내년 상하이 국제 자전거 박람회에 반드시 참가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미디어

더보기
현대건설, 기후 테크 상용화로 탄소중립시대 이끈다 현대건설이 철강 분야 CCU 플랜트까지 보폭을 넓히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건설은 지난 25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계동 본사에서 와이케이스틸(YK Steel)과 ‘당진공장 CCU 기술 적용 및 상용화 추진'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현대건설 김재영 기술연구원장, 와이케이스틸 장승호 대표이사를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와이케이스틸 당진공장 내에 하루 15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CCU 플랜트 구축을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은 와이케이스틸이 제품 생산의 저탄소 전환을 위해 당진공장에 추진 중인 탄소중립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실시됐다. 현대건설은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액화하는 플랜트 시설과 관련 기술 등을 검증하며, 와이케이스틸은 CO₂ 포집과 활용을 위한 제반 설비 연계와 사업장 확대를 위한 수요처 발굴을 담당한다. 당진공장 내에 CCU 플랜트가 구축되면 와이케이스틸 철강 제품의 저탄소 생산이 가능해지며,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액화 과정을 거쳐 액체 탄산 및 드라이아이스로 활용하거나 인근 스마트팜과 연계해 에너지 순환 클러스터로 운영될 계획이다. 최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