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채소가격안정제 물량 35%로 확대…“배추 등 가격 2% 하락 전망”

밭작물 중 수급불안 가능성 높은 7개 품목…농식품부, 2027년까지 늘리기로

 

[이슈투데이=김호겸 기자] 정부가 배추, 무, 마늘 등 주요 밭작물의 물가안정 및 농가지원을 위해 채소가격안정제 가입 물량을 확대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2027년까지 채소가격안정제 가입 물량을 평년 생산량의 35% 수준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채소가격안정제는 주요 노지 밭작물의 공급과 가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7년부터 추진 중이다.

작물 가격이 내려가면 농가에 하락분을 일부 보조하거나 과잉 물량을 격리하고, 가격이 오르면 가입 물량을 조기에 출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사업 대상은 주요 밭작물 중 수급불안 가능성이 높은 배추, 무, 마늘, 양파, 대파, 고추, 감자 등 7개 품목이다.

채소가격안정제는 가입 품목의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하락 때 정부,지자체,농협,농가대표 등이 참여하는 '주산지협의체'를 통해 일부 물량의 격리 등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가격의 지나친 하락을 방지하고 손실을 본 농가에 대해 하락금액의 일부를 보전함으로써 농가의 재배결정에 따른 가격하락 위험을 일정 수준 막아준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아울러 재배면적 확대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하면 가입품목의 가격은 높지 않은 수준에서 유지돼 물가안정에 기여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기준 채소가격안정제 가입 물량은 평년 생산량의 16%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가입물량을 점차 확대함에 따라 안정적인 공급 효과가 나타나 물가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농식품부는 올해 전반적인 물가가 높게 형성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채소가격안정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올해의 경우 앞으로 사업비를 조성할 계획인 배추(여름,가을,겨울작형),무(여름,가을작형)와 겨울대파의 농협 사업비 부담비율을 한시적으로 5% 포인트 완화, 가입물량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로 올해 가입 물량은 총 1만 4000톤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물량 확대에 따라 이들 품목 가격이 평균 약 2%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농식품부는 우선 여름,가을 무,배추부터 가입물량과 재배면적이 확대되도록 주요 재배지역을 중심으로 안내하고 9월 하순부터 출하되는 배추의 경우 100ha 규모를 신규 확보해 공급 안정화에 나설 계획이다.

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채소가격안정제는 가격하락에 따른 농가의 위험부담을 줄여주는 동시에 가격의 급등락을 완화함으로써 물가안정에 기여하고 있다'며 '채소가격안정제가 안정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새마을금고, MG캐피탈에 2000억 유상증자 완료...신용등급 A0로 상향 MG캐피탈(대표이사 김병국)은 모회사인 새마을금고중앙회로부터 실시한 2,000억원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신용평가사들은 MG캐피탈의 재무안정성 개선과 계열의 지원가능성이 확인됨에 따라 MG캐피탈의 신용등급을 A-에서 A0로 상향했다. 한국신용평가는 MG캐피탈의 신용등급을 A-(긍정적)에서 A0(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하였으며, 등급 상향 조정 이유에 대해 “이번 유상증자로 MG캐피탈의 시장지위 확대 및 자산포트폴리오위험 완화가능성과 조달구조 등 재무지표 개선이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NICE신용평가에서는 “이번 유상증자 대금 납입으로 계열의 비경상적 지원가능성을 확인하였다”며 신용등급을 A0(안정적)로 상향 조정하였다. 이번 상향으로 MG캐피탈 신용등급은 국내 3대 신용평가사 중 두 곳에서 A0(안정적)를 받게 되어, 유효신용등급도 A0로 상향하게 되었다. MG캐피탈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로 조달한 2,000억원의 자금으로 고금리 차입금을 상환하여 수익성을 제고하고, 산업금융 중심의 자산 확대로 안정적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자 한다”며 “신용등급은 지난 2016년 3월(당시 舊효성캐피탈) A-로 하향된 이후 9년만에 상향되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