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펜벤처스 코리아, 해외 스타트업 11곳 성공적인 한국 시장 진출 돕는다

2022 K-Startup Grand Challenge 통해 글로벌 11개 기업 한국 진출 액셀러레이팅

 

 글로벌 분야 전문 액셀러레이터 펜벤처스 코리아(대표 송명수)가 ‘2022 K-Startup Grand Challenge’를 통해 한국 시장으로 진출을 희망하는 해외 기업 11곳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펜벤처스 코리아는 해외 기업의 성공적인 한국 진출을 위해 자사 보육 기업 11곳을 대상으로 8월 1일부터 11월 16일까지 액셀러레이팅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중소기업벤처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함께 추진하는 2022 K-Startup Grand Challenge는 전 세계 유수 스타트업의 한국 시장 진출을 돕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이다. 선정 기업에는 △비즈니스 모델(BM) 컨설팅 △기업 공개(IR) 컨설팅 △분야별 멘토링 △국내 특허 컨설팅 △한국 법인 설립 컨설팅 △투자자 미팅 등 한국 시장 진출에 필요한 각종 혜택이 지원되며, 최종 데모데이 우승 기업에는 12만달러의 상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은 △Stack(미국, 핀테크) △Akila(프랑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MotionsCloud(독일, AI) △Dayta AI(홍콩, AI) △Ignitabull(캐나다, 이커머스) △Aptero(프랑스, VR/AR/MR) △Kwema(미국, 헬스케어/바이오) △Artifact AG(스위스, 디지털 콘텐츠/소셜/게임) △HK Decoman Technology Limited(홍콩,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Augment Therapeutics(미국, 헬스케어/바이오) △Castomize(싱가포르, 3D 프린팅) 등 총 11곳이다.

펜벤처스 코리아 송명수 대표는 “보육 기업들과 국내 투자사 및 파트너사 간 다양한 네트워킹 자리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준비해 글로벌 기업들의 한국 시장 정착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며 “보육 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 유치를 적극 검토 연계해 실질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삼성물산, 개포우성7차에 파격적 금융조건 제안 삼성물산이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 조합원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 하기 위한 파격적 금융 조건을 제시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은 우수한 재무 건전성과 업계 유일 최고 신용등급(AA+)을 통한 안정적인 자금 조달로 ▲사업비 전체 한도 없는 최저금리 책임 조달 ▲조합원 분양계약 완료 후 30일 내 환급금 100% 지급 ▲분담금 상환 최대 4년 유예 등 개포우성7차 조합원을 위한 역대급 금융 혜택을 마련했다. 먼저, 삼성물산은 개포우성7차의 사업비 전체를 한도 없는 최저 금리로 조달할 계획이다. 여기서 사업비 전체란, 조합 운영비∙각종 용역비 등의 '필수사업비'와 추가 이주비∙임차보증금 반환비용 등의 '사업촉진비'까지 모두 포함한 총액을 말한다. 통상 도시정비사업에서 사업촉진비는 필수사업비의 최대 수십 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총 사업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낮은 금리의 대규모 자금 조달이 조합원의 분담금 절감과 사업 성공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삼성물산은 조합에 사업비 전액을 한도 없는 최저 금리로 책임 조달할 것을 약속했다. 실제 삼성물산은 지난 6월 서울시 서초구에서 수행중인 재건축정비사업에 시중 최저금리로 사

LIFE

더보기
BNK부산은행, OBDIA 정식 가입... 스테이블코인 연구 박차 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이 지난 6월 30일,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DID협회(이하 OBDIA)의 ‘스테이블코인 분과’에 정식 가입하고, 스테이블코인 관련 공동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고 2일(수) 밝혔다. OBDIA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의 제도화와 실증 사업을 추진하는 민간 협의체이다. 지난 4월에는 스테이블코인 분과를 신설해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KB국민·신한·우리·NH농협·IBK기업 등 주요 금융기관이 참여해 공동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부산은행은 협회 활동을 통한 이번 스테이블코인 공동 연구와 디지털화폐(CBDC) 시범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양방향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등 관련 제도가 구축되는 속도에 맞춰 민첩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역화폐 동백전 운영대행 노하우 접목해 실제 시장에서 활발하게 유통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디지털화폐 모델 구축에도 적극 나설 계획을 갖고 있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아직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증 역량이 필요하다”며 “향후 제도화 이후 공공 참여 모델과 민간 중심의 모델 등에도 유의미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