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피플

두들린, 채용 사이트 설문 리포트 발간 “구직자 74.2%, 자사 채용 사이트 있는 기업에 지원 의사 더 높아”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기업용 채용 관리 솔루션 '그리팅(Greeting)'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두들린(대표 이태규)은 기업의 채용 사이트 관련 설문조사 결과, 구직자 대다수(74.2%)가 채용 사이트가 있는 기업에 지원을 긍정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은 구직자 300명과 채용 담당자 28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 중 74.2%는 '기업의 채용 사이트가 존재한다는 것이 지원 의사에 영향을 미치나요'라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미친다'고 답했다. 

 

'채용 사이트가 주는 인상이 기업 이미지와 연관되나요'라는 질문에는 40%가 '매우 그렇다', 45.8%가 '그렇다'를 선택했다. '채용 사이트에 고지된 인재상이 지원 의사에 영향을 미치나요'라는 질문에도 61.9%가 '그렇다'고 답해 기업의 채용 사이트가 기업에 대한 인상 및 지원 의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사이트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이유로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서'와 '채용과 지원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아서'가 각각 61.4%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반면 채용 사이트가 부정적인 인식을 주는 경우는 '지원 방식이 불편해서'(60%), '채용 사이트의 느낌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21.2%) 등이 있었다. 

 

구직자들은 채용 공고를 검색할 때 채용 플랫폼만큼 기업의 채용 사이트도 많이 찾아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채용 사이트 검색 비율은 75.8%, 채용 플랫폼 검색 비율은 74.8%로 채용 사이트 검색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90%의 응답자들은 채용 플랫폼, 커뮤니티, 지인 추천 등으로 알게 된 기업을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채용 사이트가 있는지 따로 검색해봤다고 답했다. 

 

채용 담당자들의 경우에도 채용 사이트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평가했다. 응답자 중 54.7%가 채용 사이트가 '매우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채용 사이트가 지원율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매우 도움된다' 29.5%, '도움된다' 31.9%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54.2%의 응답자는 채용 사이트가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봤다. 

 

다만 채용 담당자들은 '채용 사이트 개편을 위한 개발/디자인 리소스 부족', '콘텐츠 변경을 위한 채용 담당자의 리소스 부족' 등의 이유로 채용 사이트를 운영하지 못하거나 유지보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들린 이태규 대표는 '설문에 응답한 채용 담당자 중 42%만이 채용 사이트를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채용 사이트는 지원자에게 기업과 기업의 채용 문화에 대해 각인시킬 수 있는 좋은 도구다. 그리팅 서비스로 기업 채용 사이트를 제작하면 개발 지식이 없는 사람도 노코드 기반으로 쉽게 채용 사이트를 제작 및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고 설명했다. 

 

그리팅은 기업 채용 담당자들의 업무를 대폭 줄여주고 효율적인 채용 관리를 돕는 국내의 대표적인 채용 관리 솔루션(ATS, Applicant Tracking System)이다. 그리팅에서는 △기업별 채용 사이트 제작부터 △지원자 이력서 통합 관리 △지원자 협업 평가 △간편한 면접 일정 조율 △채용 데이터 분석까지 통합 지원하고 있다. 

 

그리팅의 채용 사이트 제작 솔루션은 100% 노코드로 코딩 등 개발 용어를 모르는 사람도 쉽게 사이트를 개설하고 운영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현재까지 2200여 기업이 그리팅의 채용 사이트 제작 서비스를 이용해 자사 채용 사이트를 만들었다. 그리팅은 LG디스플레이, 카카오게임즈, 넥슨, 컬리 등 누적 4000여 기업을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다. 두들린의 채용 사이트 관련 설문 리포트는 그리팅 블로그에서 다운로드하면 전문을 볼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DL건설, 의정부 신곡동 아파트 현장 사고 관련 입장 발표 DL건설이 지난 8일 의정부 신곡동 아파트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와 관련해 깊은 애도의 뜻과 사과를 전하며, 전사적인 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DL건설은 “이번 사고로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께 깊고도 무거운 애도의 뜻을 표하고, 유가족분들께도 진심으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고 직후 모든 현장의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전사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해 안전이 확실하게 확인되기 전까지는 작업 중지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생업을 위해 출근한 근로자분들이 안전하게 일하고 퇴근할 수 있도록, 안전한 현장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DL건설은 “안전체계에 대한 확신을 이루어 내기 위해 대표이사 이하 전 임원, 팀장, 현장소장은 보직을 걸고 현장 안전을 위한 업무에 임할 것”이라며, “사즉생의 각오와 회사의 명운을 걸고 반드시 안전한 현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표이사와 CSO(최고안전책임자)를 포함한 전 임원, 팀장, 현장소장이 자발적으로 동참해 11일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 한편 DL건설은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안전결의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우선 11일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이후 안전이 확인되어 작업이 재개된 현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