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황새 복원 최고 권위자 박시룡 교수 ‘수채화가가 만난 천로역정 사람들’ 펴내

직접 그린 80편의 수채화와 덤덤하게 써 내려간 신앙에세이로 만나는 ‘천로역정’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한국교원대학교는 우리나라 황새 복원 최고 권위자 박시룡 명예 교수가 '수채화가가 만난 천로역정 사람들'을 펴냈다고 밝혔다. 

 

'어느 자연과학자의 영성'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은 20년 동안 우리나라 황새복원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면서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만나 수채화를 직접 그리면서 쓴 그의 신앙 회고록이다. 

 

그는 자연과학자로 기독교 신앙의 영성을 자신의 간증을 통해 담담하게 풀어가고 있다. 자연과학자로 '어떻게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믿느냐'라는 질문에 그는 '그것은 세상의 지혜가 아닌 하나님의 지혜로, 그분의 목적 깊은 곳에 다가가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는 '하나님께서는 인류가 세상에 태어나기 전 아주 아주 먼 옛날, 빅뱅으로부터 이 우주가 처음 폭발이 있을 때부터 그리스도를 우리와 같은 육의 몸으로 무수히 많은 별 중에서 이 작고 작은 행성에 보낼 것을 미리 계획해 두셨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믿음은 그분의 영을 통해 우리에게 베푸시는 생명과 구원의 선물'이라고 설명한다. 

 

이 책은 1장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 2장 '세속 현자', 3장 '좁은 문'을 시작으로 마지막 장인 17장 '죽음의 강'으로 마무리한다.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서 주인공 크리스천이 세상의 광야를 헤매다가 동굴에서 무거운 짐을 짊어진 채 부들부들 떨면서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라며 절망하는데, 필자는 세상의 절망과 좌절을 맛본 그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1장을 썼다. 

 

2장 '세속 현자'에서는 신앙생활을 하는 자연 과학자로 찰스 다윈과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라는 세속 현자들에 의해 한때 그의 신앙이 흔들렸음을 고백하고 있다. 

 

결국 그는 마지막 장인 17장에서 '죽음의 강'을 목전에 두고 이렇게 고백한다. 

 

저자는 '삶과 죽음의 경계가 있는가? 그럼, 삶과 죽음의 거리는 얼마나 되는가? '천로역정'의 저자 존 번연은 '죽음이라는 강'을 그 경계로 설정했다. 실제로는 경계가 없다. 다만 생물학적으로 존재할 뿐이다. 우리 인간은 임종 직전의 사람을 대할 때 그저 숨이 넘어가 고개를 아래로 떨구는 그 순간을 삶과 죽음의 경계라 생각한다. 그러나 하나님께는 경계가 없을뿐더러 경계를 만드시지도 않았다. 살아서 믿음으로 몸속의 새 생명을 그대로 영속되도록 만드셨다. 예수께서는 이것을 십자가의 부활과 다시 오실 것을 약속하심으로 확증해 주셨다'고 말했다. 

 

그는 이 책에서 이렇듯 죽음의 그림자를 떨쳐내고 구원의 확신을 얻었다고 고백하며 책을 끝맺음한다. 

 

이 책은 총 280쪽으로, 그가 그린 수채화 그림 80여 편이 수록돼 있으며, 현재 지구촌교회 원로 목사인 이동원 목사와 새문안교회 이상학 목사가 추천서를 직접 쓰고, 기독교문서선교회(CLC)에서 출판을 맡았다. 책은 인터넷 서점이나 국내 대형 서점 내 기독교 서적 판매대에서 만나 볼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