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안정성 유지: 케마 시험소, 유럽의 주요 고전압 프로젝트의 든든한 버팀목

 

 

신기술의 등장, 에너지 수요 증가,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범세계적 추세로 인해 에너지 산업이 급변하고 있다. 전력 회사들이 촉박한 프로젝트 일정을 맞추느라 분주한 가운데, 고전압(HV) 부품의 안정성이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대두되었다. 케마 시험소(KEMA Labs)는 막대한 손해 비용을 초래하는 정전을 방지하고 공공 인프라를 보호하는 엄격한 시운전을 통해 이러한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테넷(TenneT)이 3개의 북해 해상 풍력 발전소를 국가 전력망과 연결하고자 네덜란드에서 진행한 '홀란드세 퀴스트 노르트(Hollandse Kust Noord)'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 시설은 케마 시험소가 본격적 가동을 앞두고 대대적인 고전압 테스트를 실시한 베이크안제의 최첨단 변전소이다. 케마 시험소의 전문가들은 고급 코로나 방전 감지 카메라로 축구장 23개 크기의 광활한 부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절연 문제를 찾아내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케마 시험소 팀은 잠재적 결함을 찾아내고자 이동식 직렬 공진 시험 장비를 이용해 12개의 케이블 회로에 운영 전압보다 훨씬 높은 최대 374kV의 고전압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들은 이처럼 꼼꼼한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고, 베벌베이크 개폐소를 거쳐 380kV 전력망에 순조롭게 통합할 수 있었다. 이 프로젝트의 성공으로 현대식 에너지 인프라에서 면밀한 조정, 철저한 안전 계획, 기술적 정밀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또한 케마 시험소는 란즈넷(Landsnet)이 아이슬란드에 설치한 66kV 해저 케이블 시운전 프로젝트를 맡아 극한의 환경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헤이마에이 섬으로 공급하는 전력량을 늘릴 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지형적 특성상 물류 및 환경 측면에서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케마 시험소 팀은 외딴 지역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독자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여 케이블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섬의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HV 전력망이 확대되면서 안정적인 부품과 검증된 협력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케마 시험소는 핵심 인프라의 안전성과 성능을 검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 전력 회사들이 품질을 타협하지 않고서도 프로젝트 일정을 맞출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미디어

더보기
현대엔지니어링, 창호 기술로 ‘녹색기술인증’ 획득… 탄소저감형 건축 솔루션 제시 현대엔지니어링(대표이사 주우정)이 차양 필름을 커튼월 창호에 내장해 에너지 절감과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높인 ‘일사조절 필름 일체형 성능가변 창호 기술’을 개발하고, 해당 기술로 녹색기술인증(GT-25-02424)을 획득했다고 12일(수) 밝혔다. 녹색기술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에너지 및 자원 절약,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유망 기술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제도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24년 7월 HDC현대산업개발, 이건창호, 대진(DAEJIN)과 4자간 협약을 체결한 이후, 해당 기술을 공동 연구해 최근 개발을 완료했다. 해당 창호 기술은 커튼월 창호 틀(프레임)에 말림식(롤 스크린 방식) 필름 구동장치가 내장된 구조로, 외부 기온이나 냉·난방 가동 여부에 따라 필름을 내리거나 올려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탄소저감형 건축 솔루션으로, 향후 제로에너지건축물(ZEB) 구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호에 내장된 필름은 20~50um(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투명 PET 원단 2겹으로 제작됐다. 외측 원단에는 태양에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