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샌드빅의 최신 보고서, 광업계의 기술자 인력난 해결할 절호의 기회 시사

세계 광업계의 기술자 인력난이 날로 심화하고 있지만, 샌드빅(Sandvik) 엔지니어링 그룹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위기를 오히려 최고의 기회로 바꿀 수 있다.

 

 

광업 인재의 미래: 이공계 졸업생들의 솔직한 생각과 업계의 대응 방안(The future of mining talent: What STEM graduates really think, and what the industry can do about it)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젊은 공학도들은 광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지만, 그중 다수는 광업의 현실과 전 세계의 에너지 전환에서 광업의 역할을 제대로 알게 되면 이직을 고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개국 824명의 이공계(STEM) 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거의 40%가 광업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비슷한 비율의 응답자가 그로 인해 광업에 취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광업계의 희망적인 미래도 엿볼 수 있었다. 응답자의 90% 이상은 광업이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면 광업으로 진로를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샌드빅 사장 겸 CEO 스테판 바이딩(Stefan Widing)은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광업에 엄청난 기회가 잠재되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오늘날의 광업이 단순히 채굴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화, 자동화, 전력화를 활용해 인류의 중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할 수 있는 분야라는 사실을 젊은 공학도들이 깨닫는다면, 광업에 투신해 실질적인 변화를 만드는 데 앞장서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고 판단하게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이 보고서에서는 졸업생들이 광산업계 취업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로 높은 연봉, 첨단 기술 활용, 그리고 복잡한 공학적 난제를 지목했다. 반면에, 안전에 대한 우려와 환경 오염 이미지는 여전히 광산업계 취업을 꺼리는 주된 이유로 손꼽혔다.

 

2029년 무렵에 미국 광산 인력의 절반가량이 은퇴할 것으로 전망되고, 전 세계적으로 공대 입학생이 줄어드는 가운데, 이 보고서에서는 기업, 학계, 정부가 의기투합해 교육 제도를 개선하고 광업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만 인재를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충고했다.

 

샌드빅 그룹의 비에른 악셀손(Björn Axelsson) 수석 부사장 겸 인사 총괄은 "공학도의 관점에서 봤을 때 광업 분야에는 인생을 걸고 도전해 볼만한 기회가 도사리고 있다. 오늘날의 전기화된 세상의 동력은 광물임이 분명하지만, 그 미래를 이끌어갈 주인공은 채굴 방식을 과감하게 혁신할 차세대 인재들이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현대엔지니어링, 창호 기술로 ‘녹색기술인증’ 획득… 탄소저감형 건축 솔루션 제시 현대엔지니어링(대표이사 주우정)이 차양 필름을 커튼월 창호에 내장해 에너지 절감과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높인 ‘일사조절 필름 일체형 성능가변 창호 기술’을 개발하고, 해당 기술로 녹색기술인증(GT-25-02424)을 획득했다고 12일(수) 밝혔다. 녹색기술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에너지 및 자원 절약,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유망 기술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제도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24년 7월 HDC현대산업개발, 이건창호, 대진(DAEJIN)과 4자간 협약을 체결한 이후, 해당 기술을 공동 연구해 최근 개발을 완료했다. 해당 창호 기술은 커튼월 창호 틀(프레임)에 말림식(롤 스크린 방식) 필름 구동장치가 내장된 구조로, 외부 기온이나 냉·난방 가동 여부에 따라 필름을 내리거나 올려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탄소저감형 건축 솔루션으로, 향후 제로에너지건축물(ZEB) 구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호에 내장된 필름은 20~50um(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투명 PET 원단 2겹으로 제작됐다. 외측 원단에는 태양에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