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대방건설, 안정적인 재무구조 유지

 

대방건설은 두 자릿수대의 부채비율을 유지하고 있어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불구, 안정적인 재무 건전성을 보이고 있다고 8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대방건설의 2024년 말 별도 기준 차입금 의존도는 22.04%로 자산 대비 낮은 수준이며, 부채비율은 80.77%를 기록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대방건설은 종합건설업체 업계 평균 부채비율인 108.98%보다 낮은수준의 부채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대방건설의 별도 재무제표상 이익잉여금은약 1조 8,015억 원으로 나타났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약 2,193억 원, 단기금융상품 약 11억 원, 단기대여금약 7,897억 원 등을 보유하고 있어 풍부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유동비율은 202.3%로 집계되었다. 유동비율은기업이 단기적으로 상환해야 할 부채에 대비해 유동자산을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통상 200% 이상일 경우 재무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나이스디앤비 평가에서는 A0, 건설공제조합의 신용등급에서 AA 등급을 받았다. 대방건설의 2024년 공사수입은 약 9,297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약 8,507억 원) 대비약 9.3% 증가한 수치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보였다.

 

주택 브랜드 ‘디에트르’를 보유한 대방건설은 2024년 하반기 수원, 의왕, 군포 등 수도권 지역에서 우수한 분양 성적을 거두었으며, 2025년에는 전국에서 약 9,000가구를 신규 분양할 계획이다. 

 

4월에는 ‘북수원이목지구 디에트르 더 리체Ⅱ’를 분양하며, 이후 ‘성남금토지구’, ‘인천 영종국제도시’ 등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은지역에서 분양을 이어갈 예정이다. 지난해 ‘과천 디에트르퍼스티지’, ‘북수원이목지구 디에트르 더 리체Ⅰ’를 비롯해수도권 등지에서 청약 흥행을 이끈 대방건설은 올해도 공격적인 분양 전략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더해 대방건설은 주택사업에 이어공공사업 수주로의 확장 또한 이어가고 있어 미래가 더욱 밝게 전망된다. 주택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꾸준히성장해온 대방건설은 지난해 1038억 규모의 고양장항 S-2BL 아파트건설공사 6공구를 포함해 총 7개 공공공사를 수주했다. 이에 건설업 불황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안정성이 높은 공공공사수주로 대방건설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방건설 관계자는 “당사는 탄탄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올해에도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할 것이며,특히 올해도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은 지역에 많은 물량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2025년 우수한분양 성적이 예상된다”며, “이러한 기반 위에서 경기 불황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주택 사업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유지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