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시노펙, 해외에서 첫 '글로벌 에너지 전망 2060' 보고서 발표

에너지•화학 연구 보고서 3건 발표로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 공동 목표와 사업 협력 강화

 

중국 최대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중 하나인 중국석유화학공사(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HKG: 0386, 이하 '시노펙')가 4월 21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중국 에너지 및 화학 산업 보고서 해외 발표 행사에서 '글로벌 에너지 전망 2060(Global Energy Outlook 2060)' 보고서를 공식 발표했다. 시노펙은 행사에서 2025년판 '중국 에너지 전망 2060(China Energy Outlook 2060)' 및 '2025 중국 에너지 및 화학 산업 전망(2025 China Energy and Chemical Industry Outlook)' 보고서도 추가로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시노펙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한 세 번째 해외 발표 행사로, 양국 간 에너지 전환 협력 강화와 학술 및 비즈니스 교류 촉진에 기여했다.

 

 

중국 기업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혁신적인 연구를 활용해 해외에서 중장기 글로벌 에너지 전망을 발표한 건 '글로벌 에너지 전망 2060' 보고서가 처음이다. 보고서는 2045년까지 전 세계 1차 에너지(primary energy), 즉 자연 상태에서 바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소비량이 표준석탄 기준 267억 1000만 톤으로 정점에 도달하고, 2060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51.8%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206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은 252억 5000만 톤으로 감소하되 이 중 석유와 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35.7%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석유 소비량은 2030년에 46억 6000만 톤으로 정점에 이르고, 사용 비중이 수송용 연료에서 산업용 원료 쪽으로 옮겨가겠지만 2060년까지 여전히 운송용 에너지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비화석 에너지 사용은 크게 증가하면서 2023년 2%에 머문 수소 사용량은 2060년까지 약 50%로 증가해 연간 3억 4000만 톤을 넘어서고, 탄소 포집•저장(CCUS) 용량은 2030년까지 1억 1000만 톤, 2060년까지 47억 톤으로 각각 확대되어 에너지 전환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판 '중국 에너지 전망 2060' 보고서는 중국의 1차 에너지 사용량이 68억~71억 톤의 표준석탄으로 2030년 이후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했다. 석유 수요는 2027년 이전에 정점을 기록하고, 2035년까지 전력 생산에서 비화석 에너지 사용이 화석 연료 사용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또 에너지 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은 2030년 이전에 108억~112억 톤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중국이 탄소 배출 정점을 조기에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5 중국 에너지 및 화학 산업 전망' 보고서는 중국의 총 정제 능력이 2025년까지 연간 9억 6000만~9억 7000만 톤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화학 산업은 올레핀과 아로마틱 분야에서 과잉 생산 문제에 직면하더라도 이런 벌크 화학 제품의 생산 능력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