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산 유기농 코코넛 제품, 서울푸드 2025에서 화제

베트남의 대표적인 코코넛 제조사 루옹꾸이 코코넛(Luong Quoi Coconut, 브랜드명: 비엣코코(Vietcoco))이 6월 10일부터 13일까지 서울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푸드(Seoul Food) 2025에 참가한다. 루옹꾸이 코코넛은 베트남관 5번 홀 5A112 부스에서 프리미엄 코코넛 제품으로 글로벌 식음료업계의 떠오르는 식물성 제품 트렌드에 발맞춘 혁신성을 선보인다.

 

 

KOTRA가 주최하는 서울푸드 박람회는 아시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영향력 있는 식품 전시회 중 하나다. 매년 서울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이 행사는 전 세계 수많은 참가업체와 방문객이 모여 글로벌 식음료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혁신을 공유하는 자리다.

 

베트남의 '코코넛 수도'로 널리 알려진 벤쩨에서 설립된 루옹꾸이 코코넛은 유기농 코코넛 워터, 코코넛 밀크 음료, 구운 코코넛칩, 코코넛 밀크, 유기농 엑스트라 버진 코코넛 오일, 건코코넛 등 다양한 코코넛 제품을 개발해왔다. 이러한 제품들은 소매 및 외식 부문 모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유기농, 천연, 친환경 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루옹꾸이 코코넛이 신뢰할 수 있는 공급업체로 부상했다. 현재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은 다음과 같다.

 

  • 유기농 코코넛 워터(초고온 살균 종이 포장) - 깔끔한 맛과 편의성으로 사랑받는 천연 수분 보충 음료
  • 유기농 엑스트라 버진 코코넛 오일 - 요리, 제빵, 퍼스널 케어에 널리 사용되는 제품
  • 유기농 퓨어 프리미엄 코코넛 오일 - 높은 품질과 순도, 다양한 용도로 인정받는 제품

 

이 제품들은 모두 USDA 유기농, EU 유기농, JAS 유기농, 한국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농 인증을 받아 국내외 기준을 충족하며 한국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또한 루옹꾸이 코코넛은 할랄 및 코셔 인증을 획득해 다양한 식문화에 적합한 제품을 선보이며 전 세계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다.

 

농장에서 진열대까지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루옹꾸이 코코넛은 베트남 벤쩨의 유기농 인증 코코넛 재배 지역에도 투자해왔다. 이 재배 시설들은 글로벌 식품 안전 표준을 충족하며 ISO 22000, HACCP, BRCGS 등의 인증을 보유하고 있어 프리미엄 코코넛 제품의 글로벌 공급업체로서의 신뢰성을 입증한다. 이를 통해 현재 65개국 이상에 수출하고 있으며, 안전한 프리미엄 식물성 제품을 찾는 글로벌 바이어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의 식음료업계가 유기농, 비건, 기능성 제품 트렌드를 수용하면서 루옹꾸이 코코넛은 영양가와 활용도가 높고 지속 가능한 코코넛 혁신 제품으로 이러한 진화하는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킨텍스의 루옹꾸이 코코넛(비엣코코) 부스(5번 홀 5A112)를 방문해 협업 기회를 발견하고 베트남 최고급 코코넛 제품의 이점을 체험해 보길 바란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