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5MW 표준 컨테이너 설계: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의 혁신적 수소 장비, 글로벌 에너지 전환 지원

제18회 '국제 태양광 발전•스마트 에너지 (상하이) 콘퍼런스 & 전시회(International Solar Photovoltaic and Smart Energy (Shanghai) Conference & Exhibition)'가 6월 11일 상하이에서 개최됐다. 이 행사에서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Trina Green Hydrogen)은 글로벌 고객을 겨냥해 세 가지 유형의 녹색 수소 장비를 공개하며, 글로벌 수소 에너지 산업에서 회사의 가치 창출 능력을 선보였다.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이 새롭게 출시한 메가와트급 PEM(Proton Exchange Membrane) 전해조는 차세대 PEM 막 전극 재료를 적용해 고압 환경에서도 전해조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한다. 산소 흐름 내 수소 농도는 전체 출력 범위에서 600 ppm 미만으로 유지된다. 정격 전류 밀도 3만 A/㎡ 미만의 조건에서도 직류(DC) 전력 소비량은 4.3 kWh/Nm³보다 적다. 또 새로운 촉매 기술을 통해 귀금속인 이리듐(iridium) 사용량을 80% 줄였으며, 촉매의 이론적 수명은 15년 이상이고, 전압 감소율은 1.3 μV/h에 불과하다. 비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장비 비용을 20%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의 2000 Nm³/h 알칼리 전해조는 안정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2세대 TQ(Tianqing) 시리즈 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전극 재료와 최적화된 전해조 구조를 채택했다. 4000 A/㎡의 전류 밀도에서 DC 전력 소비는 4.3 kWh/Nm³ 미만으로, 국제 1등급(Tier 1) 에너지 효율 기준을 충족한다.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의 메가와트급 컨테이너형 수소 생산 시스템은 단위당 최대 1000 Nm³/h의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각 단위는 전해조, BOP(Balance of Plant) 시스템, 제어 캐비닛, 정류기 캐비넷, 수처리 시스템 등 모든 구성 요소를 표준 컨테이너 내에 통합했다. 모듈식 설계로 신속한 조립도 가능하다. 컨테이너는 유연한 호스로 연결되어 있어 파이프 설치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고, 표준화된 설계로 운송 시간, 비용, 배송 주기를 50% 이상 줄였다. '부유식 지붕'과 '천지문(天地門)" 같은 설계의 특징은 운영 공간을 확장하고 자연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시스템 안전성을 확보하게 해준다.

 

재생에너지 비용이 하락하고 전해조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녹색 수소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은 제품 성능, 수명,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개발(R&D)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미래의 수소 동력 세계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동력을 꾸준히 제공할 예정이다.



미디어

더보기
침수피해 Zero! 대우건설, 개포우성7차에 안전한 단지의 새 기준 제시 대우건설(대표이사 김보현)이 입찰 참여중인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에 폭우에 완벽 대비한 침수 제로 단지조성 등 안전한 단지의 새 기준을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해가 갈수록 게릴리식 집중호우가 심해지는 상황에서 대우건설은 개포동 일대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집중호우 대책을 내놓았다. 개포우성7차는 단지 동측 중동고 대지보다 낮게 형성되어 집중호우에 취약해 질 수 있다. 이에 대우건설은 개포우성7차를 폭우에 완벽 대비한 단지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대우건설은 단지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단지 레벨을 최대 4.5m 상향해 전체 단지를 평평한 형태로 조성할 계획이다. 집중 호우시 주변 단지의 빗물이 단지 내로 모이지 않도록 대지 구조를 개선할 예정이며, 경사를 없앰으로써 인근단지로 흘러 내려갈 수 있는 침수피해까지도 최소화하는 설계를 선보인다. 인근 디에이치자이 또한 동일한 사유로 개포우성7차 쪽에 맞닿아 있는 면의 대지를 들어올린 바 있다. 대우건설은 화재에 대비한 비상차로 동선도 철저히 신경써 배치했다. 특히, 8개동 모두 필로티를 적용해 단지를 하나의 큰 공원으로 조성하면서도 모든 동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지상 비상차로를 계획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