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 반도체 협력, 산업•학계 넘어 투자까지 확장

영국 반도체 산업 규모 130억 달러, 컴파운드 반도체 분야 세계 3대 거점으로 부상

영국과 한국이 반도체 분야에서 협력의 폭을 넓히고 있다. 산업과 학계를 넘어 스타트업과 투자 생태계까지 교류가 확산되며, 양국 간 첨단기술 협력이 한층 입체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지난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린 '한–영 반도체 주간(UK–Korea Semiconductor Week)'은 양국 간 기술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반도체대전 SEDEX 2025 전시회에는 ABI 일렉트로닉스, 블루시프트 메모리, 아이스모스 테크놀로지, 인피니트시마, 테라뷰, 벡터 포토닉스 등 6개 영국 첨단기업이 참가해 컴파운드 반도체, 광자기술, 정밀측정 등에서 영국의 기술적 강점을 선보였다.

 

같은 기간 진행된 영국 반도체 연구자 미션(Researcher Mission)에서는 한국의 KAIST, POSTECH, 서울대학교 등 연구진이 영국의 주요 지역 클러스터인 맨체스터•리즈•셰필드•글래스고를 방문해 국립 그래핀연구소(National Graphene Institute), 브래그 소재연구센터(Bragg Centre), 첨단제조연구센터(AMRC), 국가제조혁신연구소(NMIS) 등과 공동연구 및 기술 세미나를 진행했다.

 

세계 3 컴파운드 반도체 거점, '130 달러 산업'으로 성장

 

영국 반도체 산업은 연간 약 130억 달러(약 18조 원) 규모로, 2만 5천 명 이상의 고급 기술 인력이 종사하고 있다. 웨일즈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컴파운드 반도체 클러스터는 유럽 전체 활동의 절반을 차지하며, 영국을 세계 3대 컴파운드 반도체 강국으로 자리매김시켰다. 영국 정부는 소재•설계•광자기술•전력반도체 등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연평균 5~6% 성장세를 전망하고 있으며, 반도체 산업은 영국의 혁신 전략과 산업정책의 핵심 축으로 자리하고 있다.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는 "한국은 세계 반도체 산업의 중심이며, 영국은 소재•설계•연구 분야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 이번 반도체 주간을 통해 양국이 각자의 기술력을 결합함으로써 글로벌 공급망의 회복력과 혁신 역량을 함께 높여 나갈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민간투자로 확장되는 협력 메디이노파트너스, 퀴나스테크놀로지에 투자

 

양국의 협력은 기술 교류를 넘어 민간투자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딥테크 전문 액셀러레이터 메디이노파트너스(Medinno Partners)는 영국 랭커스터대학교에서 분사한 퀴나스테크놀로지(Quinas Technology)에 투자했다.

 

퀴나스테크놀로지는 비휘발성 복합소재 기반의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 '울트라램(ULTRARAM™)'을 상용화하고 있으며, 영국 혁신청(Innovate UK)과 화합물반도체 웨이퍼 공급사 IQE의 지원을 받아 AI 및 양자컴퓨팅용 고성능 메모리 개발을 진행 중이다.

 

주한영국대사관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정부 간 협력을 넘어,영국의 혁신 기업과 한국의 전략적 투자자를 연결하는 새로운 협력 모델을 보여준다"며 "영국은 앞으로도 반도체•AI•첨단소재 분야에서 한국과의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학계–투자 생태계로 확장되는 '한–영 반도체 동맹'

 

'한–영 반도체 주간'은 영국 정부의 '아시아•태평양 성장 미션(Growth Mission)'과 '산업전략(Industrial Strategy)'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산업•학계•투자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영국은 한국과 함께 첨단소재•반도체•연구개발 분야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콜린 크룩스 대사는 "한–영 협력은 기술과 혁신을 넘어 양국 경제의 성장동력으로 확장되고 있다. 영국은 한국과 함께 더 깊고 실질적인 반도체 파트너십을 이어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하나은행, 글로벌자산관리센터(GWM) 통해 국내 최초로 국경 없는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한다!!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지난 23일 서울 삼성동 Place1에 글로벌자산관리센터(Global Wealth Management Center)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오픈한 글로벌자산관리센터는 자산의 글로벌 재배치가 본격화되는 흐름에 맞춰 국내를 넘어 전 세계를 아우르는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자산관리센터에는 신탁 컨설턴트,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애널리스트 등 분야별 최고의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리빙트러스트 ▲부동산&주식 ▲대체투자뿐 아니라 ▲국제조세 ▲글로벌부동산 ▲거주국 변경 등 복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한다. 특히, 해외로 이주한 손님에게는 현지 하나은행 영업점 및 제휴기관과 직접 연계하여 투자이민, 가업승계 등 현지 기반의 맞춤형 자산관리 컨설팅을 제시하고, 국내로 귀국한 역이민 손님에게는 해외체류 경험 및 해외 비즈니스 커리어를 반영한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성, 환리스크 관리 등 최고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하나은행은 전 세계 27개 지역 112개의 해외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손님이 원하는 지역이라면 어디든지 최상의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이번 오픈에 맞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