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영풍·MBK, 최윤범 회장 이그니오 인수 수익 관련 사실 밝혀야

 

고려아연 최대주주 MBK 파트너스와 영풍은 6일 최윤범 회장에게 “고려아연의 이그니오 인수 시 최대 100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수익을 챙긴 매도자와의 관계를 밝혀라”고 요구했다.

 

고려아연은 2022년 설립한 페달포인트를 통해 같은 해 7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이그니오 구주 지분 100%와 신주를 인수했다. 인수대금은 당시 환율로 자그마치 5800억 원에 이른다. 고려아연이 2022년 7월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이그니오 매출액(2021년)의 9배 수준, 2022년 11월 자료로는 무려 50배에 이르는 금액이다. 2021년말 기준 자본총계 -19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기업을 매출액의 50배나 주고 인수한 셈이다.

 

이그니오는 2021년 2월에 설립된 신생회사에 불과했다. 2022년 7월 고려아연이 1차로 지분을 인수한 시점을 기준으로 보면 불과 1년 6개월도 안된다. 특히 이그니오 설립 후 불과 5개월 만인 2021년 7월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하고, 설립 초기자본의 100배를 넘는 가격에 인수 협상을 벌였다는 사실은 일반적인 인수합병 거래에 비춰 볼 때 매우 이례적이다.

 

이그니오의 설립 초기 출자 자본금 총액은 약 275만달러(주당 27.5달러)였다. 고려아연이 이그니오 구주 인수대금으로 치른 금액은 약 3억 달러(7월 거래분 주당 2,466달러 및 2,621달러, 11월 거래분 주당 2708.7달러, 신주 제외)로 이그니오 초기 자본금의 100배가 넘는다. 거래 당시 매도자 측은 이그니오 지분 47.5%를 보유한 1대주주 MCC NFT 외에 Windchime Limited(5%), PCT Igneo Investor LLC(38.2%), 타르사디아 그룹(The Tarsadia Group LLC, 5.7%) 등 투자펀드 위주로 구성됐다.

 

MBK 파트너스와 영풍 측은 이들 펀드의 운용회사가 이그니오 대주주인 MCC NFT와 모종의 연관성을 가진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MCC NFT의 대주주는 미국에서 호텔업으로 시작해 현재는 투자업을 영위하는 타르사디아 그룹(The Tarsadia Group)으로 알려져 있다.

 

타르사디아가 MCC NFT를 지배하고, MCC NFT가 다시 이그니오를 지배하는 구조인데, 이그니오의 2대 주주를 비롯한 투자펀드의 상당수가 타르사디아 소속 운용역들에 의해 운용돼 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그니오에는 타르사디아 그룹이 직접 5%대 지분을 가진 주주로 참여해 있기도 하다.

 

MBK 파트너스 관계자는 “지난 2022년 고려아연이 이그니오를 인수할 당시, 설립된 지 얼마되지 않은 기업을 제대로 된 실사도 없이 터무니없는 밸류에이션을 책정함으로써 매도자들에게 최대 100배라는 엄청난 수익을 안겨줬다”며 “이례적이고 너무나 비상식적인 투자이기에 매도자와 최 회장 간의 관계를 주주들에게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최윤범 회장 측이 이그니오 매도인 내의 관계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주장하지만, 수천억 원이 오가는 M&A 거래를 실행하면서 거래 당사자에 대한 신원을 불문으로 하는 경우는 없다”며 “MCC NFT와 타르사디아와의 관계, 타르사디아가 운영한 투자펀드의 실제 출자자(LP) 신원에 대한 의혹 등에 대해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