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게 사랑받는 베트남 레스토랑 체인의 비밀

 

외식업(F&B) 업계에서 15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한 꽌 부이 그룹(Quán Bụi Group)은 베트남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유명 미식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한 식당 이용객은 꽌 부이에서의 경험을 이렇게 전한다. "가족과 함께 저녁에 방문했는데, 손님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이 세심하게 응대해 주었다. 음식도 입맛에 잘 맞았고, 분위기도 편안해서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하기에 정말 이상적인 장소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가치는 꽌 부이 그룹의 특징이자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품질 기준이 됐다. 어느 매장을 방문하든, 정성이 깃든 요리, 전문적인 서비스, 그리고 따뜻하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문화와 미식이 조화를 이루는 특별한 경험을 만날 수 있다.

 

단 트란(Danh Trần) 최고경영자(CEO)는 베트남 요리에 대한 깊은 열정과 전통의 맛을 프리미엄 수준으로 보존•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꽌 부이 그룹을 설립했다. 처음엔 작은 레스토랑에서 시작해 현재 14개 지점을 보유한 다채로운 미식 브랜드로 성장했다.

 

  • 꽌 부이 – 전통적인 베트남 요리 전문점으로, 소박하고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옛날 그대로의 맛을 재현한다.
  • 라앙 사이공(Laang Saigon) – 베트남 요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아시아 미식의 정수를 조화롭게 담아낸다.
  • 스티키 라이스(Sticky Rice) – 정통 태국 요리 전문점으로, 강렬한 매운맛과 독특한 향을 살린 태국의 풍미를 선사한다.
  • 카페인(Café'In) – 현대적인 카페 공간으로, 업무나 휴식을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다.

 

꽌 부이는 곧 푸미흥에 새로운 지점을 오픈할 예정이다. 푸미흥은 호찌민시에 '코리안 타운'으로 알려진 지역으로 한국인 커뮤니티가 밀집해 있는 곳이다. 넓고 쾌적한 공간과 대규모 수용 능력을 갖춘 꽌 부이 푸미흥은 파티, 모임, 회식을 위한 최적의 장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꽌 부이는 한국인 고객들에게 특히 사랑받는 다양한 베트남 요리를 선보인다. 해산물이 들어간 베트남식 반쎼오, 매운 고추 소금을 곁들인 오징어구이, 딜을 넣은 베트남식 조개 수프, 짭조름한 소금 달걀 소스를 곁들인 두부 요리, 흰가지와 금귤을 곁들인 소고기 샐러드, 하노이식 숯불 돼지고기 쌀국수(분짜), 타마린드 소스를 곁들인 필레 치킨 볶음 요리 등이 대표적이다. 각 요리는 베트남 요리의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조화로운 풍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성스럽게 준비된다.

 

단 트란 최고경영자는 브랜드의 발전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요리는 문화를 탐험하고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꽌 부이 그룹은 품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베트남의 한국인 커뮤니티가 선택한 최고의 브랜드임에 자부심을 느낀다. 우리의 요리는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마음을 움직이는 맛이며, 음식이야말로 전 세계를 연결하는 공통 언어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